대상포진 예방접종 효과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받아야 하는 이유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받으면 대상포진에 대한 예방효과도 있지만 대상포진을 앓은 뒤 나타나는 후유증인 신경통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코로나19 예방접종을 통해 우리가 돌파감염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
그런데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돌파 감염이 없다.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원래 이름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다.
우리가 어렸을 때 수두를 앓으면서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몸에 들어오면서 면역력이 떨어지면 다시 서서히 기어 나오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대상포진을 ‘헤르페스졸로스터’라고 하는데, 이때 헤르페스가 그리스어로 스졸로기아가 나온다는 뜻이라고 한다.
그래서 예방접종을 하면 한마디로 서서히 기어 나오는 빈도가 적어지고 통증도 적어지는 효과가 있다.
우리나라에는 현재 2종류의 대상포진 접종이 있다.
그리고 곧 하나가 더 수입될 예정이라고 한다.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받는 가장 큰 이유는 첫째, 대상포진이 재활성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보통은 걸리지 않는다는 표현을 쓰지만 바이러스가 이미 체내에 있기 때문에 재활성화라는 표현을 쓴다.
두 번째가 대상포진으로 인한 신경통을 예방하기 위해서다.
대상포진의 후유증인 신경통은 정말 경험해보지 못한 사람이 모를 정도로 심한 통증이라고 한다.
한 연구에서 대상포진이 걸린 사람 외에 대상포진 증상이 전혀 없었던 사람에게 예방접종을 했다고 한다.
그러자 피부에 대상포진 증상이 나타나도 짧게 앓아 다녔고, 또 대상포진 합병증으로 인한 신경통이 매우 적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미 대상포진 후유증으로 신경통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예방접종이 효과가 있을까.
이미 대상포진에 걸린 뒤 후유증으로 고생하시는 분들도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받으면 효과가 있다고 한다.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몸에 남아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바이러스가 다른 부위로 옮겨갈 수도 있고 또 재발할 수도 있으므로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좋다.
기존 대상포진 후유증으로 인한 신경통을 줄이기 위해서도 예방접종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재활성화되더라도 통증을 완화할 목적으로 예방접종을 권장하고 있다.
대상포진도 전염되느냐는 질문도 많다고 한다.
대상포진은 전염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이다.
하지만 임신부나 면역저하자에게서 매우 드물게 수두 형태로 전염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받는 시기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만 50세 이상에서 받을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보다 젊은 사람들이 맞아도 좋지만 경제적 논리와 효과적 논리 차원에서 권장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만약 권장 연령을 낮추면 30~40대에 예방접종을 받아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것을 우려하는 것이다.
실제로 쳐야 하는 분들이 맞지 않게 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만 50세 미만이라도 의사 소견에 따라 일부는 맞을 수 있다.
어쨌든 한국의 허가 상황은 만 50세 이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