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증시) 인플레이션 설정, 실업급여 청구 건수 늘어…주요 3대 지수 1% 상승

2023년 4월 13일 목요일 미국 주식 시장

생산자물가지수(PPI)가 발표됐다.
3월 PPI는 전월 대비 0.5% 하락했다.
시장 예상(0%)보다 더 하락했다.

생산자 물가 지수는 소비자 물가의 방향을 나타내는 선행 지표입니다.

어제 발표된 소비자 물가 지수(CPI)도 하락하면서 인플레이션이 억제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물가지수의 급격한 하락이 경기침체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날 실업급여 청구 건수도 전주보다 1만1000건 늘어난 23만9000건을 기록했다.

생산자 물가 지수가 떨어지면 기업은 매출을 잃게 되고 이는 실적 부진으로 이어지고 결국 고용 불안으로 이어집니다.
또한 실업 보험 청구 증가에 기여합니다.

이날 주식시장은 경기침체보다는 인플레이션이 떨어지고 고용지표가 나쁘다는 점을 받아들이는 모양새다.
세 지수 모두 1% 이상 올랐다.


2023년 4월 13일 미국 3대 지수 그래프

Dow는 각각 1.14%, S&P500은 1.33%, NASDAQ은 1.99% 상승했습니다.
Nasdaq은 거래일 4일 만에 반등했고 Dow와 S&P 500은 2월 15일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이날 시가총액 상위주는 아마존 4.67%, 애플 3.41%, 마이크로소프트 2.24% 등 급등했다.
덕분에 Big Tech 3x 레버리지 ETF인 FNGU도 7.25% 급등했습니다.

IDC는 애플이 개인용 PC 출하량을 거의 절반으로 줄일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골드만삭스는 PC 매출보다는 서비스 부문의 성장세가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 보고서를 내놨다.


이날 한국 3x ETF Unit 2를 매도했습니다.
2호기는 $8.8에 113개를 구입했지만 모두 $9.9에 판매했습니다.
우리는 시장에 많은 불확실성이 있기 때문에 박쥐 공매도로 거래하고 있습니다.
물려받은 것이기 때문에 단가를 낮추려는 의도도 있다.


“Fed에 반대하지 마십시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어제 공개된 3월 회의록에서 연준은 경기침체가 올 것이고 회복은 2년이 걸릴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시장은 크게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

오늘 주식시장이 또 어떻게 반응할지 모르겠습니다.
잘 대처하셔서 ‘생존투자’ 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