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첨부파일(교육부 02-27(1)저녁보도자료) 2023년 지방자치단체-산학협동 지역혁신사업 1차 선정 결과 발표.pdf 파일을 다운받아 내 컴퓨터에 저장

네이버 마이박스에 저장

지방자치단체와 대학·지자체의 비수도권 협력(파트너십) ‘지역혁신플랫폼’ 구축 2023년 부산·전북·제주 신규 플랫폼 최초 선정·발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2023년 지방자치단체협력재단 지역혁신사업’ 예비선정 결과를 발표한다.
2월 27일(월) 전북플랫폼(단일형)과 제주플랫폼(단일형)을 1차 선정하고, 선정 결과는 3월 초 확정할 예정이다.
) → 선발평가(2.20~2.21) → 1차선발결과발표(2.27) → 최종선발결과 확정(3.초) 지역 혁신을 위한 파트너십(partnership)을 기반으로 지역에 필요한 인재 양성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대학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지난해 기준으로 11개 시도에 6개 지역혁신플랫폼을 구축했다.
※(’23년 예산) 9 2개 플랫폼 지원, 약 4,886억원 투자 (정부예산(70%) 3,420억원, 지방예산(30%) 약 1,466억원) 올해 핵심분야 선정사업 포함 사업추진 시스템 구성, 사업계획 수립 및 관리 등 개략도를 바탕으로 선정평가를 실시하여 3개의 신규영역을 선정하였다.

구체적인 사업계획은 교육부, 지자체, 대학 간 공동설계·조율(Co-Design)을 통해 마련한다.
세 가지 새로운 플랫폼 모두에 대한 전체 운영 센터*는 교육부 관할의 비영리 기관에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인재 양성에 앞장서게 하소서. 추진될 예정이며, 각 플랫폼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를 위해 핵심영역(①스마트항만물류, ②친환경 스마트선박, ③클린에너지 융복합 부품소재)을 “7. 전략산업육성전략”. 대혁신을 통한 혁신인재 양성과 전북지역 혁신 촉진을 위해 「전북도 제4차 종합계획」과 관련하여 중점분야(①미래교통장비, ②에너지신산업, ③농업생명공학)를 선정하였다.
제주플랫폼은 조이(JOY, 제주원대학교Y)의 핵심분야(①클린바이오, ②그린에너지/미래모빌리티, ③스마트서비스)를 선정하여 핵심분야 인력 양성과 공유대학을 통한 청년들의 정주율 증대를 위해 선정되었다.
인사정책 관계자는 “이번에 참여한 세 가지 플랫폼이 대학과 지방자치단체의 협력을 바탕으로 지역대학 조성과 지역혁신(허브)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이번에 참여하는 3개 플랫폼이 대학과 지방자치단체의 협력을 기반으로 지역대학과 지역혁신(허브)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지역 특성 시스템에 적합합니다.

※ 보도자료 전문은 위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