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성장과 발달의 단계(청소년기, 청년기, 중년기(중년기), 노년기)

(사회복지사 1급)

인간의 성장과 발달 단계

청년

13~24세(프로이트의 생식기, 에릭슨의 청소년기, 피아제의 정식 수술기, 아동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기, 중년기, 주변인기, 심리적 이유기, 제2의 반항기)

● 신체 발달

– 두 번째 급성장기, 일반적으로 여아가 남아보다 약 2년 일찍 시작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남아의 신체 발달이 우세해집니다.

– 성호르몬의 분비로 인해 남녀의 외모차이가 뚜렷해진다.

– 생식기관이 성숙함에 따라 2차 성징이 나타난다.

정신 발달

– 인지발달 : 논리적, 추상적,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은 물론, 자기 자신과 사회적 관계를 바라보는 능력이 발달하나 사회적 인지 발달은 자기중심성(※ 상상적 청중, 개인 우화 등) ▷자기중심주의는 15~16세 전후에 정점을 이루다가 다양한 대인관계 경험을 통해 자신과 타인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가 이루어지면서 점차 사라짐

– 정서발달 : 폭풍우가 몰아치는 시기(급속한 신체 성장과 성적 성숙으로 인한 정서적 불안정으로 인한)

– 자아정체감 확립 : 청소년기의 가장 중요한 발달과업(Ericsson)

사회 발전

– 가족관계 : 부모와 가족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면서 친구와 자신에게 의존하는 경향(정신적 이유기, 2차 반항기)

– 또래관계 : 어른(부모, 교사 등)보다 또래의 관심과 지지가 더 필요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회성이 발달한다.

– 이성관계 : 동성의 친구들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우정을 나누면서 이성에게 관심을 보이는 기간

– 성역할 정체성 발달, 성적 사회화 과정

청년

25~39세(에릭슨의 초기 성인기, 신체적, 정신적 측면에서 가장 발전된 시기)

신체 발달

– 신체발달이 가장 왕성한 시기와 가장 건강한 시기

– 사춘기의 어색한 모습이 사라지고 균형 잡힌 모습이 드러납니다.

정신 발달

– 친밀감의 발달, 다른 사람과 개방적이고 지지적이며 조화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 ▷ 주로 결혼을 통해 형성됨

– 청소년기 이전 단계에서 자아정체감이 형성되지 않으면 고립감이 생기기 쉽다.

사회 발전

– 진로선택 : 청소년기 출산휴가 중 자신에게 맞는 직업을 선택하는 기간

결혼: 친밀감과 성숙한 사회적 관계 달성의 중심

– 출산과 육아: 역할 변화에 대비해야 함(양육지식 재정비, 부부간 역할과 책임 등)

중년 (중년)

40~60세(에릭슨의 성인기, 인생의 과도기)

– 노화가 시작되는 40대 전후로 중년기에 접어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신체 발달

– 이 시기에 노화 시작 : 신체기능 및 건강감소, 감각기관 변화, 신진대사 둔화 ▷ 질병에 대한 감수성

– 여성의 변화 : 갱년기(가임력 상실), 갱년기

– 남성의 변화: 폐경은 여성보다 늦게 발생하며 그 변화는 점진적이며 생식능력은 보존되지만 성기능은 저하됩니다.

정신 발달

– 인지발달 : 속도에 크게 의존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인지능력의 저하가 크지 않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 문제 해결 능력 개발 : 새로운 것을 배우는 능력은 다소 떨어지지만, 오랜 경험을 통해 축적된 지혜로 문제 해결 능력이 증가합니다.
(※ Commanding Generation)

사회 발전

– 육아와 양육이 모두 필요한 시기(※ 샌드위치 세대)

– 부부가 일의 세계에 뛰어들면서 결혼 만족도가 떨어지고 성장하는 자녀와의 갈등이 커지는 시기.

– 직무관리 : 개인의 성과와 사회통합을 위해 가장 중요한 업무로 조기퇴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재취업 교육이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노력이 중요

– 빈 둥지 증후군 : 중년 여성에게 나타날 수 있는 문제

고령

65일 이후

● 신체 발달

– 급격한 신체 노화

정신 발달

– 인지발달 : 단기기억과 장기기억 모두 감소하나 장기기억은 단기기억보다 덜 감소

– 성격 특성: 우울증 성향 증가, 내향성 증가, 수동성, 경직성, 주의 및 의존성 증가, 삶의 기억 증가, 친숙한 대상에 대한 애착, 성역할에 대한 인식 변화, 삶의 날이 점점 짧아지고 있다고 느끼는 시간적 관점 증가 더 짧은 변화, 유산을 남기려는 경향 증가 등

– 자아통합(완성) vs. 절망의 위기

사회 발전

– 조부모의 역할 : 관직형(가장 흔한 유형), 재미 추구형, 대리부모형, 가족지혜저장형, 거리두기형

– 원만한 부부관계 및 우정(이웃) 유지를 위한 노력, 노후 적응

죽음과 죽음

– 죽음의 5단계(Kubler-Ross): 부정(denial) ▷ 분노 ▷ 타협 ▷ 우울 ▷ 수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