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을 당했을 때 신고할 수 있는 은행사 고객센터 전화번호 안내 국민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씨티은행, 기업은행, 농협, 부산은행, 신협, 신한은행,
사회적으로 문제가 대두되면서 향후 이를 근절하기 위한 범정부 합동단속을 상시 조직으로 설치하고 관련된 불법 사금융이나 보이스피싱에 대한 법 집행도 강화하겠다고 한다.
© guvo59, 출처 Pixabay
전기통신수단을 활용해 비대면 거래를 통한 특수 사기 범죄의 일종인 보이스피싱은 보통 해외에서 본진을 두고 활동하는 범죄조직을 검거하기가 쉽지 않다.
그만큼 지금과 같은 피해자는 계속 나올 수밖에 없을 것이다.
내 계좌 범죄조직의 은행계좌를 통해 유출되거나 입금된 돈은 신한은행이든 국민은행이든 농협이든 검거되든 계좌에 넣어둔 피해금액을 다시 돌려받을 수 있다는 보장도 없다.
결국은 보이스피싱을 당했을 때 신고만큼 본인이 신속하게 올바른 판단으로 대처하는 방법밖에 없다.
피해를 당했을 때 경찰서에 신고만큼 중요한 것은 금융회사 고객센터에 연락해 계좌 지급 정지를 요청하는 것이다.
각자 거래할 은행 연락처를 미리 파악하는 것이 좋지만 많은 사람이 주로 이용하는 주요 은행 전화번호를 알아보자.
©geralt, 출처 Pixabay 국민은행 고객센터 1588-9999, 1599-9999
우리은행 고객센터 1588-5000, 15995000
하나은행 고객센터 1599-1111
씨티은행 고객센터 1588-7000
기업은행 고객센터 1588-2588
농협고객센터 1544-2100
부산은행 고객센터 1588-6200
신협고객센터 1566-6000
신한은행 고객센터 1544-8000
상기 전화번호는 각 은행사 대표 전화번호로 1~2개의 전화번호를 가지고 있다.
본인이 사용하는 주거래 은행사의 계좌번호를 알린 경우나 한 은행기관의 계좌로 이미 송금을 한 경우라면 무엇보다 빨리 고객센터에 전화해 해당 계좌의 지금 정지부터 선제적으로 신고해야 한다.
대다수 은행은 보이스피싱 사고 신고 항목에 단축번호를 마련해두고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고객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hazardos, 출전 Unsplash
새벽 시간이라 통화 연결이 어려울 것이고, 다음날 이 사실을 통보하지 않고 사실을 인지한 직후 해당 연락처로 연락해 피해 사실을 신고하고 지급정치를 신청해야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다.
보이스피싱을 당했을 때 연락할 수 있는 주요 은행사 전화번호에 대해 알아봤다.
무엇보다 침착하고 신속하게 행동하자.
#국민은행 #씨티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농협 #기업은행 #부산은행 #신협 #신한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