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내집마련 신혼부부 디딤돌대출(잔금지급, 중도금 대납이자납부, 관리비 예치금납부, 열쇠인수, 전입신고, 인지세납부)

대출 실행 당일 아침에 일어나면 아침 6시쯤 대출 제공 비용이 출금되어 있고

  • 여기서 대출제공 비용이란 인지세 및 보증료를 의미하는데 인지세는 대출금액에 따라 다르며, 1억-10억 이하의 경우 75,000원이 일반적이라고 합니다.
  • * 인지세 : 재산상 권리의 변동 및 승인을 표시하는 증서를 발행할 때 발생하는 세금
  • 대출에 대한 인지세는 15만원이지만 은행이 절반, 계약자가 절반에 75,000원입니다.

기존 중도금 대출 아래 디딤돌 대출이 진행 중이었어요!
우리는 아침에 이렇게 확인하고 나서 입주할 아파트의 입주 지원 센터에 갔어요.

아파트에서 안내된 입주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우리는 실제로 입주 지원 센터의 업무 시작 시간인 9시보다 일찍 입주 지원 센터에 도착했습니다.

  • 실제 진행 순서
  • 중도금 대납 이자 납부 ➡ ᅪᄅ 費 관리비 예치금 납부 ➡ 中途ᆫ紙 中途 은행 중도금 상환 및 별매품 납부 ➡ ᅨ貯 예적금 담보 대출 ➡ ᅵ金 잔금 납부 ➡ ᄋ 証 입주증 발급 & 열쇠 인수 ➡ ᅥ 申告 전입 신고 ➡ ᅵᄌ 인지세 납부 이자, 예치금, 별매품 납부 순서는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1)중도금 대납 이자 납부 중도금 대납 이자 후불제 비용이 지급돼야 은행에서 디딤돌 실행한 돈으로 중도금 상환이 가능하다고 해서 후불제 비용 지급부터 했습니다.

대납자는 분양아파트 홈페이지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분양 아파트에서 안내된 대납 이자 납부 전용 계좌로 납부하셔야 합니다.

계약자마다 금액이 다를 수 있습니다.
(계약금, 중도금, 선납한 금액에 따라 금액이 달라집니다.
)

*납부 확인은 3일 정도 걸린다고 적혀있는데 납부 후 바로 업데이트가 되거든요. (아파트마다 다르겠지만)

2)관리비 예치금 납부 * 관리비 예비금도 아파트마다 다르다고 합니다.

3) 은행 – 중도금 상환 처리

은행이 디딤돌 대출 비용으로 중도금을 상환해 주기를 기다렸습니다.

우리는 은행에서 편의상!
중도금에 우리가 납부해야 하는 별매품까지 전용계좌로 납부 처리한 후 공제된 나머지 금액을 입금하기로 하고 별매품을 별도로 납부하지 않았습니다.

입주 첫날이라 잔금을 치르려는 인원이 많아서 은행에서는 순차적으로 처리하느라 입주 지원센터에서 좀 기다렸어요.9시에 가서 11시 반 정도에 중도금 상환이 되었습니다.

은행에서 공제금액 입금완료 확인

중도금 상환 및 별매품 납부 후 공제된 금액을 은행 계좌로 받은 후 해당 금액을 아파트 잔금 납부 계좌로 보낸 후

4) 예적금 담보대출 실행 기타 은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예적금 담보대출을 실행하였습니다.

예적금 통장이 2개라서 2개 대출받았어요.

그래서 총 3회에 걸쳐 잔금을 납부했습니다.

입주증 발급 시 중도금이체 완납확인서가 필요한데 저희는 은행을 방문할 필요 없이 은행에서 직접 팩스로 사무실로 받아서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이것도 은행 방문 여부는 아파트마다 대출 진행 은행마다 다른 것 같습니다.
) 저희는 잔금일에 따로 은행 방문은 없었습니다.

5) 번호표 발급 후 입주증 발급&키 인수를 순서대로 기다림

저희는 혹시 대출에 차질이 생길까봐 번호표를 뽑지 않고 대출이 안전하게 실행된 걸 보고 번호표를 뽑아서 오래 걸렸는데요.

걸리는게 없다면 번호표를 먼저 뽑고 기다리는걸 추천해요.저희는 그날 잔금을 치르시는 분들이 많아서 정말 오래 기다리셨습니다.

게다가 첫날이라 입주지원센터 직원들도 업무가 미숙해서 더 시간이 걸렸습니다.

기다리고 있는데 주택도시기금에서 대출신청 적격이라고 문자가 왔어요.

무한 대기

입주증 발행 순서가 되면 별매품 및 잔금을 완납했다는 서류를 보여주고 서류에 사인하면

입주증, 종합영수증, 별매품, 영수증 등을 교부받아 지급물품과 열쇠를 전달받습니다.
(받은 서류는 아래 전입신고 부분에 사진이 있습니다)

전달 후 입주센터 직원과 동행하여 가구 내에서 키 설정 방법 등 지급 물품에 대한 설명을 듣습니다.

6)전입 신고

전입신고도 잔금일로 안 하시는 분들도 계시는데

우리는 은행에서 바로 전입신고서류와 주민등록등본 아까 입주센터에서 받은 영수증을 보내달라고 해서 잔금일에 전입신고까지 진행했어요.

전입신고까지 완료!

7)인지세 납부(케이스에 따라 다름!
) 인지세 관련 사항은 검색한 상세정보도 첨부합니다

*수입인지 : 세금을 거두는 수단의 하나로 정부가 발행하는 증표. 세금이나 수수료 등을 냈음을 증명하기 위해 서류에 붙인다.
*수입 여부는 추후 분양권 등기시 법무사에게 제출

인지세 납부기한은 통상 계약 당일 납부 원칙(계약일이 휴일일 경우 돌아오는 최초 평일 납부)이라고 하는데, 위 사진의 정보와 같이 인지세 가산세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고 합니다.
(국세청 간담회 결과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산세 미과로 일단락됐다고 한다.
)

저희 같은 경우는 법무법인이 어차피 낼 테니까 빠른 시일 내에 납부하라고 했어요. 그래서 잔금 내는 시기로 진행했어요.

다음 절차는 등기가 되겠네요!
그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